본문 바로가기
일상 속 혜택

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|정부가 돈 준다는데, 당신은 뭐부터 할 건가요?

by 냥아치 집사 2025. 5. 4.

둘 다 하면 안 됩니다.


2025년 정부가 청년들을 위해 내놓은 대표 자산형성 프로그램 두 가지,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. 이름은 비슷한데, 혜택과 조건은 완전히 다릅니다.

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|정부가 돈 준다는데, 당신은 뭐부터 할 건가요?
청년내일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|정부가 돈 준다는데, 당신은 뭐부터 할 건가요?


헷갈리면 ‘둘 다 탈락’입니다. 오늘 이 포스팅에서 내 상황에 맞는 선택법을 분명하게 알려드립니다. 반드시 끝까지 읽어주세요.

 

청년내일저축계좌 신청바로가기 >>>


✔️ 두 계좌의 기본 개념부터 다릅니다

구분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
목적 저소득 청년의 자산형성 지원 중소득 청년의 장기 자산 축적
지원방식 정부가 본인 납입액에 매칭지원 (최대 3년) 정부가 기여금 지급 + 이자 비과세 혜택 (최대 5년)
적립기간 3년 5년
월 납입액 10만 원 or 20만 원 최대 70만 원 자유적립
지원금 최대 금액 약 1,440만 원 + 이자 약 5,000만 원 (원금+기여금+이자)
신청 플랫폼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은행 앱 또는 지점 방문
 

청년내일저축계좌정말 힘든 청년들을 위한 복지 중심 계좌이고, 청년도약계좌소득이 어느 정도 있는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 형성 계좌입니다.


✔️ 자격 조건 비교 (중위소득 기준 주의!)

항목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도약계좌
연령 만 19~34세 만 19~34세 (병역 기간 최대 6년 연장 가능)
소득 기준 가구 중위소득 50% 이하 + 근로소득 필수 개인소득: 연 7,500만 원 이하
가구 중위소득 180% 이하
자산 기준 가구 금융+부동산 자산 심사 통과 개인소득 기준만 충족하면 대부분 가능
중복가입 희망적금/도약계좌 중복 불가 내일저축계좌 중복 불가
 

📌 여기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청년내일저축계좌는 “가구 기준”, 반면 청년도약계좌는 “개인 기준”이라는 점입니다.


✔️ 어떤 계좌를 선택해야 하나요? (실제 사례 적용)

  • A씨(23세, 편의점 근무, 월급 150만 원 / 부모님과 거주 / 가구 전체 수입 180만 원)
    청년내일저축계좌 대상
    → ❌ 청년도약계좌는 가구소득 초과로 제외될 수 있음
  • B 씨(31세, 중소기업 정규직, 연봉 3,200만 원 / 1인 가구)
    → 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소득 기준 초과
    → ✅ 청년도약계좌 적극 추천
  • C 씨(28세, 공시 준비 중 / 알바 중단 상태 / 부모님과 거주)
    → ✅ 청년내일저축계좌도 어려움 (근로소득 없음)
    → ❌ 청년도약계좌도 가입 불가

🎯 정리하자면,

  • 월소득이 적고 가구소득도 낮으면 → 청년내일저축계좌
  • 정규직 근무자이거나 연봉이 어느 정도 된다면 → 청년도약계좌

✔️ 가장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두 계좌를 동시에 가입할 수 있나요?
A. 불가능합니다.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중복 신청 및 중복 가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.

 

Q.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후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할 수 있나요?
A. 원칙적으로 전환 불가입니다. 중도 해지 후 새로 가입은 가능하나, 기존 혜택 소멸 주의!

 

Q. 두 계좌 모두 비과세 혜택이 있나요?
A. 청년도약계좌는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, 청년내일저축계좌는 매칭지원금 자체가 비과세 대상입니다.


✔️ 어떤 계좌가 더 좋을까?

사실 '더 좋은 계좌'는 없습니다. 내 상황에 맞는 계좌가 최고의 계좌입니다. 하지만 이런 기준은 참고하세요:

상황 추천 계좌
연 소득 2,000만 원 이하 청년내일저축계좌
연 소득 3,000만 원 이상 청년도약계좌
매달 10~20만 원밖에 저축 못함 청년내일저축계좌
매달 50만 원 이상 저축 가능 청년도약계좌
가족 소득이 높음 청년도약계좌
가족 소득이 낮고 집에서 거주 청년내일저축계좌
 

✅ 참고 링크

🔹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자격 조건 확인하러 가기 (복지로)

🔹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바로 보기 (서민금융진흥원)


✅ 관련 정보도 함께 확인하세요!

👉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? 청년내일저축계좌 소득 조건 설명서
👉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기간은? 접수 마감일 주의!
👉 중도해지하면 손해일까? 청년내일저축계좌 해지 조건 정리


✅ 마무리 요약

  • 청년내일저축계좌: 저소득층 청년 대상, 매칭지원금 혜택
  • 청년도약계좌: 중소득 청년 대상, 이자 비과세 + 자유적립 가능
  • 둘 중 하나만 신청 가능!
    👉 무작정 가입하지 말고, 반드시 소득 조건 + 자산 조건 + 납입 여력 기준으로 판단하세요.